[5분 뚝딱 철학] 개 100만 마리와 연인 중에 누굴 구해야 할까? 현대 윤리 동물권 논쟁 <2>구명보트의 개피터 싱어나 톰 리건의 입장은 이론상으로는 근본적 차이가 있지만, 실제로 현실적 문제에서 나타나는 양상에는 큰 차이가 없어요. 둘 다 공장식 축산, 동물실험, 육식을 반대해요. 그래서 둘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사고실험을 소개할게요.유람선이.. 정리=현기성 기자 2023.10.11 18:50 [화학으로 보는 옛 그림 여행] 밥을 먹고 나면 왜 하품이 날까? 김홍도 ‘점심’18세기, 종이에 옅은 채색, 국립중앙박물관밥을 먹고 나면 나도 모르게 눈이 감겨.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게 눈꺼풀이라고 할 만큼 졸음을 이기기 어려워. 밥을 먹으면 왜 하품이 나고 졸음이 오는 걸까? 밥을 먹으면 몸에서는 소화를 시켜야 해. 소화는 음식 속 영양소를 몸이 흡수할 수 있도록 잘게 분해하.. 정리=진현경 기자 2023.10.09 18:00 [5분 뚝딱 철학] 동물도 인간처럼 고유한 생명체로 존중받아야 현대 윤리 동물권 논쟁 <1>동물에 대한 인식전통적으로 서양철학에서는 동물에 대한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는 데 상당히 인색했어요. 데카르트는 인간의 몸은 자동기계장치와 같고, 마음이 이 자동기계장치를 움직인다고 봤어요. 하지만 동물은 정신이나 마음이 없는 자동기계장치라고 생각했기에 쾌락.. 정리=현기성 기자 2023.09.20 19:00 “인재 육성에 1조7000억 원” 사회 환원하고 빈손으로 떠난 기업인 사업왕 이종환우리나라 최고령 기업인이었던 이종환 삼영화학 명예회장이 13일, 100세를 일기로 돌아가셨어요. 이 회장은 학교를 졸업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 측 학도병으로 끌려가 전쟁을 몸으로 직접 겪었어요. 1945년 광복 후 고향에서 정미소를 운영하던 그는 6·25 전쟁이 일어나자 서울로 올라와 생필품을 팔며 생.. 고은영 기자 2023.09.19 23:00 [5분 뚝딱 철학] 진짜도 가짜도 없다, 그저 ‘차이’만 있을 뿐 현대 존재 데리다 해체주의<2>차이+지연=차연자크 데리다는 해체의 전략으로 '차연'이라는 개념을 내세웁니다. 차연은 '차이'와 '지연'의 합성어인데, 데리다가 만든 신조어예요. 언어학자인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기호를 기표(記標)와 기의(記意)로 구분해요. '사과'라는 소리는 기표고, 이 소리를.. 정리=현기성 기자 2023.08.23 19:30 [화학으로 보는 옛 그림 여행] 딱딱한 쌀이 어떻게 부드러운 밥이 될까? 김홍도 ‘점심’18세기, 종이에 옅은 채색, 국립중앙박물관"달그락, 달그락."사람들이 모여서 밥을 먹고 있어. 일하다 먹는 새참이야. 조선 시대에는 아침과 저녁 두 끼를 먹었대. 그러면 일하다 중간에 배가 고프지 않으냐고? 그래서 바쁘게 일할 때는 새참을 먹었지. 일이 많은 농번기에는 세 끼를 먹고, 일이 없는 겨울에.. 정리=진현경 기자 2023.09.18 19:00 [출동! 문화재 지킴이] 국립중앙박물관 실내에 탑이 세워져 있는 이유 국립중앙박물관에 들어가면 실내 복도 한가운데 커다란 탑이 우뚝 서 있어요. 이 탑 이름은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이에요. 고려 시대 개성에 자리한 경천사에 있던 탑이죠. 개성에 있던 거대한 탑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오기까지는 여러 이야기가 얽혀 있어요.'이게 바로 그 탑이군. 조각이 정교한 것이 보통 물건이 아니야... 정리=진현경 기자 2023.09.17 19:00 [5분 뚝딱 철학] “관념과 사상은 실생활 문제 해결하는 도구일 뿐” 현대 인식 실용주의미국에서는 19세기 후반까지 독일 관념론이 만연하다가 이후 실용주의가 주목받았어요. 퍼스가 실용주의의 씨를 뿌리고, 제임스가 꽃을 피우고, 나중에 듀이가 집대성하면서 실용주의의 열매를 맺었죠.퍼스: 의미의 이론미국의 분석철학자이자 기호논리학자인 찰스 샌더스 퍼스는 명석판.. 정리=현기성 기자 2023.09.06 20:00 [화학으로 보는 옛 그림 여행] 빨리 움직이면 왜 숨이 가빠질까? 신윤복 ‘대쾌도’1785년, 종이에 채색, 국립중앙박물관많은 사람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며 경기를 구경하고 있어. 각자 앉은 모양이나 움직임은 달라도 모두 같은 일을 하고 있어. 바로 숨 쉬는 거야. 코나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셨다가 다시 내쉬지. 그중 씨름하는 소년들과 태껸을 하는 소년들은 더욱 가쁘게 숨을 쉬고 .. 정리=진현경 기자 2023.09.04 19:00 [출동! 문화재 지킴이] 두루마리에 이어붙인 청나라 학자들의 감상글… 길이 10m 넘어 이상적은 스승에게 선물받은 '세한도'를 청나라에 가져가서 학자들에게 보여 줘요. 김정희는 당시 청나라 수도였던 베이징에서 당대 최고의 학자라고 불리는 옹방강, 완원 등과 교류하며 청의 학자들에게도 인정받는 인물이었거든요. 이상적이 내민 김정희의 그림을 본 청의 학자들은 각자의 감상평을 적어 줘요.우선(이상적.. 정리=진현경 기자 2023.09.03 23:00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